일단 해보고, 아니면 뭐

실패했어도 배웠으면 실패가 아냐.

무한한 개발세계 여행기

분류 전체보기 38

Kubernetes Resource Request & Limit

Kubernetes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다 보면 yaml 파일 방식으로 여러 설정값을 적용하여 배포하는데, 오늘은 그 중에서 Resourse Request와 Limit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k8s에서 Resource Request와 Limit은 컨테이너에 할당되는 CPU와 Memory 자원량을 나타내며 CPU는 Milicore단위(1,000 Milicore = 1 Core)로 Memory는 Mbyte단위로 할당된다. Request량은 k8s의 Pod 스케쥴링의 기준이다. k8s의 Pod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로 구성됨으로 실제 Request량은 Pod의 모든 컨테이너 Request량을 합친 값이 된다. Pod 스케쥴링이란 Pod를 어떤 Node에 배치하는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k8s는 Round..

WAS (Spring Boot) - DB 성능 개선과 최적화 (4) - RedisTemplate

드디어 마지막 시간이다. 이번에는 Redis 데이터베이스와 연동하여 사용 중인 RedisTemplate에 대해서 정리해보고자 한다. RestTemplate는 이름에서도 보이다시피 Redis Command를 도와주는 Template이다. 결론부터 보자면 나는 이렇게 사용중이다. 천천히 확인해보자 일단 설정값들을 확인해 보기 전에 Connection Pooling의 필요성 여부를 확인해 봐야 한다. Redis는 서버 자체가 Single Thread 기반이기 때문에 WAS 측에서 Connection Pooling을 한다고 하더라도 성능 상의 이점이 두드러지지 않는다. 왜냐면 Connection Pooling이라는 행위가 일단 Connection을 만들어 놓는 거기 때문에 그만큼에 메모리 자원을 점유하게 되기 ..

Programing/Spring 2022.06.02

WAS (Spring Boot) - DB 성능 개선과 최적화 (3) - RestClient

다른 부분 정리하느라 좀 늦어졌지만 세 번째로 RestClient에 대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프로젝트 내에서 사용중인 데이터베이스 중에서 Elastic Search 를 위해 사용 중인 라이브러리이다. RestClient는 Elastic Search REST Client 인 High Level REST Client Library에 포함되어 있는 부분으로 Elastic Search 서버에 HTTP 요청을 위한 Client 용 객체이다. 나는 다음과 같이 사용 중이다. RestClient를 생성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분석해보며 많이 놀랐다. public RestClient build() { if (this.failureListener == null) { this.failureListener = new Failu..

Programing/Spring 2022.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