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free' 명령어의 결괏값을 분석하게 되면서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보자. 어쩌다 분석을 하게 되었는지 부터 보자면... Node Exporter를 설치하여 수집되는 메트릭으로 Promql을 사용하여 노드의 메모리 추이를 조회하는데, 실제로 쿼리결과의 데이터가 free 명령의 결과값과 달라서 데이터를 분석하게 된 것이다. 일단 비교할 두 대상의 데이터부터 확인해보자 먼저 node exporter의 데이터를 분석해보자 node exporter는 운영체제 내의 /proc/meminfo 파일을 통해서 데이터를 스크랩해오는 방식인데 /proc/meminfo 파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었다. [root@target-master ~]# vim /proc/meminfo MemTotal: 8144312 k..